[인터뷰] 백경열 사무처장, "최선을 다해주신 선수와 지도자 여러분께 감사...우승할 수 있도록 총력 다할 것"

제22회 전국장애인동계체육대회 경기도선수단 출전

강지현 기자 | 기사입력 2025/02/06 [09:41]

[인터뷰] 백경열 사무처장, "최선을 다해주신 선수와 지도자 여러분께 감사...우승할 수 있도록 총력 다할 것"

제22회 전국장애인동계체육대회 경기도선수단 출전

강지현 기자 | 입력 : 2025/02/06 [09:41]

▲ 경기도장애인체육회 백경열 사무처장이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수원화성신문

 

국내 장애인 동계스포츠 한마당 제22회 전국장애인동계체육대회가 오는 11일부터 14일까지 4일간 강릉, 평창, 춘천 등 강원특별자치도 일원서 개최된다.

 

이번 대회는 대한장애인체육회가 주최하며, 강원특별자치도, 강원특별자치도의회,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등이 주관한다. 후원은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체육진흥공단이 맡았다.

17개 시·도, 1,135명(선수 525, 임원 및 관계자 610)의 선수단이 참가하며, 7개 종목(알파인스키, 스노보드, 크로스컨트리스키, 아이스하기, 바이애슬론, 컬링, 빙상)에서 열띤 경쟁을 펼칠 예정이다.

 

경기도에서는 7개 종목(선수부, 동호인부) 214명(선수 88명, 지도자 및 관계자 126명)의 선수단이 출전한다. 참가장애는 지체장애, 시각장애, 지적(발달)장애, 청각장애 등이다.

 

다음은 백경열 경기도장애인체육회 사무처장과의 일문일답.

 

-출전에 대한 소감은?

지난해 500여점 차이로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러 많은 아쉬움이 있었다.

 

이에 우리 선수단은 지난해 3월부터 종목별 선수단의 효율성 제고, 선수별 경기력 및 경쟁력 향상을 위해 선수 선발, 우수선수 영입, 종목별 훈련 등에 대한 점검 및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으며 예산 등 각종 지원을 조기 실시하여 대회 출전 준비를 이상 없이 마쳤다.

 

특히 점수 비중이 높은 컬링은 직장운동부 휠체어 컬링팀을 재편하여 경기력을 제고하였으며 청각장애 컬링은 우수선수를 영입하여 전반적인 전력이 상승함에 따라 좋은 성적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도가 참가하는 7개 종목의 모든 선수가 열심히 준비한 만큼 충분한 기량을 발휘하여 후회 없는 경기로 도민의 성원에 보답하겠다.

 

-대회 목표 및 예상 성적은?

서울은 현재 대회 3연패 중으로 우수 선수 및 지도자 영입, 선수 취업 연계 등을 통해 지난해 전력 유지 또는 강화된 것으로 보이고 올해부터 동계체전을 강원이 유치함에 따라 가산점 및 시드 배정의 유리함으로 선전이 예상된다.

 

우리도는 우수(신인)선수 발굴・육성・영입의 선수(종목) 집중 관리를 통해 선수단 내실(효율)화, 전문지도자 배치, 직장운동부 운영(휠체어컬링) 등의 적재적소의 효율적인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안정적인 전력을 유지하였다.

 

아울러 스키(노르딕), 빙상에서 종목 우승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컬링(지체 및 청각), 아이스하키에서도 상위권 입상이 예상된다.

 

종합점수는 전력분석 결과, 서울과 강원 그리고 경기, 3개 시도가 점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결과 예측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우리 선수단이 최고의 컨디션으로 대회에 임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하여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선수단에게 당부하고픈 말은?

이번 대회에 참가하는 모든 선수가 그간 갈고 닦은 기량을 맘껏 펼치고 선의의 경쟁을 즐기며 당당하게 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아낌없는 성원을 보낸다.

 

무엇보다 안전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부상과 사고 없는 즐거운 대회가 되도록 경기도민의 자긍심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 주시길 당부 드린다.

 

끝으로 경기도장애인체육회장이신 김동연 경기도지사님의 도정 비전에 따라 도내장애인들에게 체육활동을 마음껏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 ‘더 많은 기회, 더 고른 기회, 더 나은 기회’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